본문 바로가기
전기산업, 중전기기

현장 조립 변압기

by kakalot 2022. 4. 17.
반응형

1. 서론

대부분의 대형 전력용 변압기는 본체(중신)이 탱크 내부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설치 장소까지 운송됩니다. 현장 설치 작업은 외부 부품 조립 및 오일 주유 정도로 제한됩니다. 대형 변압기의 경우 본체를 포함한 메인 탱크의 질량이 200톤 이상으로 매우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인프라를 사용하여 본체가 포함된 변압기의 메인 탱크를 운송하는 것은 모든 현장에 대해 가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본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고객이 요구하는 높은 용량(MVA)의 변압기를 수송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도록 운송에 대한 까다로운 중량이나 치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장을 위해 새로운 기반 시설을 보강 및 추가할 필요 없이 대형 전력용 변압기를 설치할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2. 현장 조립 변압기 핵심 기술

이 기술의 핵심은 변압기의 각 파트를 운송 가능한 부분으로 나누어 변압기가 설치될 장소로 운송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변압기의 본체 부분은 현장 조립을 위해 큰 섹션으로 사전에 제작됩니다. 이는 최대 운송 중량을 크게 줄이지만 현장 조립 과정에 새로운 문제를 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권선과 절연물이 공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조립을 위해서는 현장에 통제된 환경의 임시 건물이 필요합니다. 현장 건물에는 재조립을 위한 고정 크레인 또는 이동식 크레인이 리프팅용으로 필요합니다. 또한, 재조립이 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시험할 수 있는 고전압 시험 장비도 필요합니다.

 

현장 조립용 변압기의 분해

 

현장 조립 변압기 재조립 과정

 

해당 기술은 이미, 캐나다, 중국, 일본 및 유럽에서 적용한 사례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중량 및 치수로 인해 154kV 전력용 변압기를 3상 일괄형이 아닌, 상분리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 중에 있습니다만, 최근에 대형 변압기 운송 중에 중량이 문제가 되어 뉴스에 나온 적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한전 표준 타입이 아닌 민수용 대용량 변압기 등에 대해서는 해당 기술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

댓글